울랄라뽕,IT
WIS2011 화려하지만 많이 부족한 `국내 최대 IT쇼`, 그나마 부스걸이 반갑네
명섭이
2011. 5. 14. 07:36
지난 11일부터 삼성동 코엑스에서 WIS2011이 열리고 있다 . WIS2011은 국내에서 열리는 가장 큰 IT 전시회사로써 14일까지 진행된다. 언제나처럼 삼성·LG·SKT·KT 등 대기업들은 엄청난 행사장을 꾸며서 관람객의 시선을 사로잡고, 고만고만한 회사들은 기본 설치된 부스에서 어떻게라도 자사의 아이템을 알리기 위해 애를 쓰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화려한 듯 보이지만 국내 메이저급 제조사 마저도 참가가 저조할 뿐 더러 'World IT Show' 라는 말이 무색하게 외국 회사는 거의 눈에 띄지 않았다. 그나마 참가한 대형회사 중 몇몇은 구색갖추기 정도로 전시를 하고 있어서 WiS2011가 상당히 저조하다는 생각을 했다.
■ 화려한 페스티벌, WIS2011...
WIS2011에는 다른해보다 적은 메이저업체가 참가하고 있었다. 처음 3층 행사장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곳은 SK텔레콤이었다.
WIS2011에서 가장 눈에 띄는 행사장은 LG전자 부스였다. 삼성 행사장의 옆에 있었고, 삼성전자의 평이한 전시와 비교가 되어 더욱 눈길이 갔다.
■ 눈길 끄는 그들.
대기업의 행사장를 지나면 언제나 그렇듯 초라해보이는 중소기업의 부스 들이 있다. 이번에는 대기업 행사장과 중소기업의 부스가 구분이라도 하듯 나눠져 있어서 더욱 눈길이 가지 않았다. 그래도 나름 아이디어나 배짱으로 제품을 전시하는 곳들이 보였다.
■ 부스걸 열전. 역시 행사의 꽃
메이저급 업체는 물론 잘 알려진 업체가 아니더라도 행사에서 크게 어필하고자 하는 경우 부스걸을 섭외하여 홍보를 돕는다. WIS2011를 관람할 때 부스걸은 시선을 잡는 일등공신이다.
<부스걸 사진은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다.>
■ 마치며...
WIS와 같은 IT전시회를 처음 찾은 것이 WIS의 전신인 SEK1996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 무렵에는 어디서도 볼 수 없었던 제품을 구경하고 직접 만져볼 수 있어서 전시회장을 찾는 것이 무척이나 설레였다. 언제가부터는 그런 기대를 하지 않게 되었다. 새로운을 체험하거나 독특한 아이디어를 가진제품이 없이 평이하고 기존 제품을 홍보하는 수준의 부스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이번 WIS2011에서는 소문으로 만 듣던 LG의 옵티머스3D가 있어서 반가웠고 퀄컴의 새로운 디스플레이가 눈부셨을 뿐 더이상 기억이 나는 것이 없다. 이것은 인터넷이 발달하여 관심이 있다면 얼마든지 새로운 제품의 정보를 찾을 수 있는 것이 한몫하겠지만 그래도 너무하다고 생각할 정도로 신선함이 없다.
WIS2011에는 예년 같으면 한자리 차지했을 팬텍, 삼보컴퓨터, 모토로라 등이 참가하지 않았다. 이동통신사 중에서는 LGU+가 빠졌다. 특히 외국 회사는 퀄컴을 제외하고는 거의 눈에 뜨지 않았다. 3M도 참가하고 있었지만 부스를 조그많게 차리고 있어서 그냥 지나칠 뻔 했다. 행사 이름에 'World'라는 이름이 무색케되는 부분이다.
신선한 제품이 없고 많은 회사가 참가하지 않는 이유가 뭘까? 그만큼 WIS의 위상이 떨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미국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의 IT쇼인 CES에는 소문으로 만 듣던 제품들이 대거 출시되어 전세계의 이목이 집중된다. 이는 어찌보면 행사를 주관하는 회사의 능력 때문일 수 있다. 아직 공개하지 않은 제품들을 끄집어 낼 수 있는 능력, 그런 제품들이 전시되었을 때 빛이 날 수 있는 무대는 주관사에서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실망에 도 불구하고 나는 내년에도 WIS2012에 관람을 갈 것이다. 부디 지금보다 그 때는 깜짝 놀란 눈과 마음을 진정시킬 수 있는 무엇이 있었으면 한다.
"본 포스트는 LG모바일 이벤트 참여 글입니다."